해 주변의 구름이 무지개빛을 띄는 현상은 **”채운(彩雲, Iridescent Cloud)”**이라고 불리며, 이는 빛의 회절(Diffraction)과 간섭(Interference) 현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채운(彩雲, Iridescent Cloud)이 생기는 원인
- 구름 속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의 크기가 매우 작고 균일할 때
- 태양빛이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 주변을 지나가면서 회절(빛이 장애물을 만나면서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
- 이 과정에서 빛의 파장이 서로 간섭하면서 여러 색깔이 분리됨
- 빛의 산란과 간섭으로 다양한 색이 보임
- 빛의 **파장(적색~자색)**별로 굴절과 산란되는 정도가 달라지면서 여러 가지 색이 나타남
- 특히 태양 가까이에 있는 구름이 얇고 입자가 균일할수록 선명한 무지개빛이 나타남
- 햇빛이 구름의 가장자리를 통과할 때 더욱 뚜렷해짐
- 태양빛이 구름 가장자리를 통과하면서 빛의 굴절과 회절이 더 강하게 일어나 다채로운 색이 강조됨
무지개와의 차이점
- 무지개는 빗방울에서 빛이 반사와 굴절을 거치며 7가지 색으로 분리되는 현상
- **채운(彩雲)**은 빛이 회절과 간섭을 일으켜 색이 무지개처럼 섞여 보이는 현상
채운이 잘 나타나는 조건
- 구름이 얇고 입자가 작고 균일해야 함
- 태양 근처에 있는 고적운(높은 고도에서 형성된 얇은 구름)에서 자주 발생
- 공기 중 수분이 적당해야 하며, 특히 맑은 날 오후에 관찰되는 경우가 많음
채운은 신비롭고 아름다운 자연 현상으로, 예로부터 길조(吉兆)로 여겨지기도 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