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이스피싱은 해마다 진화하며 더 정교한 방식으로 피해자를 속이고 있다. 최근에는 단순히 전화를 걸어 돈을 요구하는 수준을 넘어, AI 음성 합성 기술과 금융 시스템을 악용한 수법이 등장하고 있다.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최신 수법을 이해하고, 이에 맞는 대응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AI 음성 변조를 활용한 가족·지인 사칭
최근 가장 주목받는 보이스피싱 수법은 AI 음성 변조를 활용한 가족 또는 지인 사칭 방식이다. 사기범은 피해자의 가족이나 지인의 목소리를 미리 확보한 후, AI 기술로 음성을 합성해 실제 통화하는 것처럼 연출한다. 이를 통해 “급하게 돈이 필요하다”거나 “사고를 당해 병원비가 필요하다”는 등의 이유로 금전을 요구하는 방식이다.
공공기관·금융기관 사칭 문자 메시지
보이스피싱 범죄자들은 경찰청, 검찰청, 금융감독원 등의 공공기관이나 은행을 사칭해 문자를 발송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귀하의 계좌가 범죄에 연루되었다’는 메시지를 보내 불안감을 조성한 후, 첨부된 링크를 클릭하도록 유도한다. 해당 링크는 실제 기관의 홈페이지와 유사하게 제작된 가짜 사이트로 연결되며, 여기에서 개인 정보를 입력하는 순간 금융 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
가짜 대출 상담 및 저금리 대환 유도
고금리 대출을 이용 중인 사람들을 대상으로 저금리 대출을 받을 수 있다고 속이는 수법도 여전히 성행하고 있다. 사기범은 대출 심사를 위해 기존 대출 정보를 요구하며, 추가로 보증금이나 선납 이자를 입금해야 한다고 안내한다. 피해자가 이를 믿고 돈을 송금하면 연락이 두절되면서 피해가 발생하는 방식이다.
택배·요금 미납 관련 피싱 전화
택배 배송 지연, 교통 범칙금, 공과금 미납 등을 빌미로 전화를 걸어 금전 거래를 유도하는 방식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피해자가 통화 중 당황하여 안내에 따라 카드 정보를 입력하거나 계좌이체를 진행하면, 곧바로 피해가 발생한다. 특히, 이러한 전화는 공식적인 자동 안내 시스템을 흉내 낸 음성으로 진행되어 더욱 정교해지고 있다.
보이스피싱을 예방하는 방법
보이스피싱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핵심적인 대응 전략을 기억해야 한다.
첫째, 전화로 금전을 요구하는 경우 반드시 가족이나 해당 기관에 직접 연락해 사실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특히, AI 음성 변조 기술이 활용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본인만이 알 수 있는 특정 질문을 던져 신원을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출처가 불분명한 문자 메시지나 이메일 속 링크를 절대 클릭하지 않아야 한다. 공공기관이나 금융기관은 개인 정보를 요구하는 메시지를 보내지 않으며, 관련 안내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직접 확인하는 것이 안전하다.
셋째, 금융 거래 시 보안 설정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OTP나 바이오 인증을 활성화하면 계좌에서 자금이 빠져나가는 것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의심스러운 전화를 받을 경우 ‘보이스피싱 신고센터(1332)’에 즉시 신고하는 것이 피해를 막는 데 도움이 된다.
넷째, ‘고액 대출 가능’ 등의 광고에 현혹되지 말고, 정식 금융기관을 통해 직접 대출을 상담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부에서 제공하는 대출상품을 활용하면 더욱 안전하게 금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보이스피싱은 점점 교묘해지고 있지만, 기본적인 보안 습관을 익히고 주의를 기울이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주변에서도 이러한 최신 수법을 공유하고 경각심을 높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