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돕기 위해 다양한 금융상품이 출시되었는데, 대표적으로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이 있다. 이 두 상품은 공통적으로 청년을 위한 지원책이지만, 세부적인 혜택과 운영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청년도약계좌란?
청년도약계좌는 중장기적으로 청년의 목돈 마련을 돕기 위한 금융상품이다. 5년간 납입하면 정부 지원금과 이자를 포함하여 최대 5,000만 원까지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 정부 지원이 포함되기 때문에 일정 소득 조건을 충족해야 가입할 수 있다.
청년희망적금이란?
청년희망적금은 단기 목돈 마련을 위한 금융상품으로, 2년 동안 납입하면 높은 금리와 더불어 정부의 저축 장려금을 받을 수 있다. 청년도약계좌보다 가입 조건이 비교적 완화되어 있으며, 단기간 내 자금을 모으고 싶은 청년들에게 적합하다.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주요 차이점
- 가입 대상
- 청년도약계좌: 만 19-34세, 개인소득 7,500만 원 이하
- 청년희망적금: 만 19-34세, 개인소득 3,600만 원 이하
- 가입 기간
- 청년도약계좌: 5년
- 청년희망적금: 2년
- 납입 한도
- 청년도약계좌: 월 최대 70만 원
- 청년희망적금: 월 최대 50만 원
- 정부 지원 혜택
- 청년도약계좌: 소득에 따라 매칭 지원금 지급
- 청년희망적금: 저축 장려금 지급
- 금리
- 청년도약계좌: 기본 금리 + 우대 금리 적용
- 청년희망적금: 높은 기본 금리 적용
- 목표 금액
- 청년도약계좌: 최대 5,000만 원
- 청년희망적금: 최대 1,200만 원
- 중도 해지 시 불이익
- 청년도약계좌: 중도 해지 시 정부 지원금 미지급
- 청년희망적금: 중도 해지 시 일부 혜택 상실
- 세제 혜택
- 청년도약계좌: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 일부 적용
- 청년희망적금: 이자소득세 비과세 혜택 제공
- 목적
- 청년도약계좌: 중장기 자산 형성
- 청년희망적금: 단기 저축 지원
- 운영 방식
- 청년도약계좌: 장기적인 계획을 세워야 함
- 청년희망적금: 상대적으로 유연한 운영 가능
이 두 가지 상품 외에도 청년 내일채움공제, 청년 전월세 대출 등 다양한 금융상품이 존재하며, 자신의 재무 상황과 목표에 맞는 선택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