팝업 차단 예외 사이트를 등록하는 방법은 브라우저마다 어떻게 다른가요?


팝업 차단은 대부분의 브라우저에서 기본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특정 사이트에 대해서는 예외로 허용할 수 있는 기능이 제공됩니다. 다만 브라우저마다 그 위치나 용어가 조금씩 달라 헷갈릴 수 있는데요, 대표적인 브라우저별로 예외 사이트 등록 방법을 정리해보겠습니다.

크롬(Chrome)
크롬에서는 설정이 직관적입니다. 오른쪽 상단의 점 3개 메뉴를 클릭한 뒤 [설정] > [개인정보 및 보안] > [사이트 설정] > [팝업 및 리디렉션]으로 이동하세요.
여기서 ‘허용’ 항목에 들어가면 팝업을 허용할 사이트의 주소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https://http:// 포함해서 정확히 입력해야 적용됩니다.

엣지(Microsoft Edge)
엣지도 크롬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요, [설정] > [쿠키 및 사이트 권한] > [팝업 및 리디렉션]에서 예외 사이트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차단되어 있고, ‘허용’ 항목에 예외 주소를 추가하면 됩니다. 크롬과 마찬가지로 주소 정확히 입력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사파리(Safari)
사파리는 방식이 조금 다릅니다. 메뉴 막대에서 [Safari] > [환경설정] > [웹사이트] 탭으로 이동한 다음, 왼쪽에서 ‘팝업 윈도우’를 선택하면 현재 열려 있는 사이트 기준으로 허용 여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목록에 없는 사이트는 새로 방문해서 목록에 뜨게 한 뒤 설정해주면 됩니다.

파이어폭스(Firefox)
[설정] > [개인 정보 및 보안] > [권한] 항목에서 ‘팝업 창 차단’ 항목 옆에 있는 [예외] 버튼을 클릭하면, 사이트 주소를 입력해 허용 목록에 추가할 수 있습니다.
여기도 마찬가지로 https:// 포함해서 정확하게 입력해야 합니다.

이처럼 기본적으로는 팝업 차단이 활성화되어 있지만, 각 브라우저에서는 예외 사이트 등록을 통해 필요한 팝업은 허용할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업무용 사이트나 결제창 등 팝업이 꼭 필요한 서비스에서는 이렇게 설정을 조정해주시는 게 좋습니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