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비디아와 국내 반도체 기업을 비교했을 때 기술력 차이는 무엇일까요?


엔비디아와 국내 반도체 기업의 기술력을 비교하려고 하면 자꾸 “누가 더 앞서 있냐” 이런 식으로 생각하기 쉬운데, 사실은 애초에 맡고 있는 역할이 달라서 같은 잣대로 비교하기가 좀 어려워요. 서로 다른 길을 걷고 있는 느낌에 더 가깝죠.

엔비디아는 일종의 ‘두뇌’를 만드는 회사예요. AI 연산을 담당하는 GPU를 설계하고, 이걸 여러 장 묶어서 하나의 거대한 컴퓨팅 시스템으로 만들어내는 데 집중해요. 반대로 국내 기업들은 주로 DRAM이나 NAND 같은 메모리 분야가 중심이죠. 쉽게 말하면 엔비디아가 연산을 담당하면 국내 기업들은 그 연산이 원활하게 돌아가도록 기억장치를 제공하는 구조예요. 그러니 기술력의 방향 자체가 처음부터 다르게 흘러온 거죠.

엔비디아가 요즘 더 돋보이는 이유는 GPU 성능 때문만이 아니라, CUDA라는 소프트웨어 생태계를 통째로 만들어버렸기 때문이에요. 개발자들이 이 환경에 익숙해지다 보니 다른 칩이 나와도 쉽게 갈아타기가 어렵죠.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같이 잡은 게 엔비디아의 독보적인 부분이라면, 국내 기업은 이런 생태계보다는 메모리 기술 그 자체의 완성도에서 최고 수준을 보여줘요.

그런데 또 재미있는 건 서로가 필요 없는 관계는 아니라는 점이에요. 엔비디아 GPU가 아무리 좋아도 고성능 메모리가 없으면 속도를 제대로 못 내요. 특히 HBM 같은 경우는 국내 기업, 그중에서도 SK하이닉스가 거의 독보적인 위치에 있어요. 결국 엔비디아의 연산 능력과 한국 기업의 메모리 기술이 묶여야 지금의 AI 시대가 굴러가는 셈이죠.

정리하면, 엔비디아는 AI 연산 기술과 생태계의 중심에 서 있고, 국내 기업들은 그 연산을 가능하게 하는 메모리를 세계 최고 수준으로 만들어내는 중이에요. 경쟁이라기보다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자신의 강점을 밀어붙이는 모습에 더 가까워요.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