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전세난이 심해지면 집주인과 세입자 모두가 곤란해지는 상황이 생겨요. 세입자는 보증금을 돌려받기 어렵고, 집주인은 기존 보증금을 돌려주기 위해 급하게 돈을 마련해야 하니까요. 이럴 때 두 당사자 모두 조금은 손해를 보더라도 상호 협의로 문제를 풀어가는 방식이 가장 현실적인 해결책이 될 수 있어요.
예를 들어, 기존 전세 기간이 끝났는데 보증금을 당장 돌려주기 어려운 경우엔 계약을 연장하면서 보증금을 일부만 반환하는 방식이 있어요. 세입자는 새 집으로 이사 가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금액만큼 보증금을 먼저 받고 나머지는 나중에 돌려받는 거죠. 이런 합의는 법적으로도 가능하고, 실제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어요.
또 하나는 월세 전환이에요. 전세 보증금을 줄이는 대신, 그만큼의 금액을 월세로 돌리는 방식이죠. 예를 들어 2억짜리 전세를 1억으로 줄이고, 나머지 1억은 월세로 환산해 30-60만 원 정도 내는 식이에요. 요즘처럼 전세 가격이 떨어진 상황에선 이런 방식도 서로 윈윈일 수 있어요. 세입자는 이사 비용도 줄이고, 집주인은 급하게 돈 마련하지 않아도 되니까요.
가장 중요한 건 협상이에요. 서로 상황을 설명하고 조금씩 양보해서 방법을 찾아가는 거죠. 법적으로는 전세 만기 시점에 보증금을 돌려주는 게 원칙이지만, 현실에선 집이 안 나가서 보증금을 못 돌려주는 일이 흔하게 벌어지고 있어요. 이럴 땐 법대로만 가면 서로 손해예요. 소송으로 가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감정도 상하고요.
부동산 중개사나 변호사, 혹은 법률구조공단 같은 곳의 도움을 받아 문서로 정리해두는 것도 중요해요. 말로만 약속하면 나중에 문제 생길 수 있으니까요. 차용증을 쓰든, 계약서를 갱신하든 꼭 기록으로 남겨두는 게 안전해요.
정리하자면, 역전세난에서 가장 유리한 해결책은 서로가 조금씩 양보하는 방식이에요. 보증금 일부만 돌려받고 계약 연장하기, 전세 일부를 월세로 바꾸기, 서면 합의를 통해 차후 반환하기 등 현실적인 방법들이 있어요. 물론 완벽한 해결은 아니겠지만, 서로 상황을 이해하고 감정싸움 없이 풀어나가는 게 최선일 수 있어요.